사주에서 신강(身强)과 신약(身弱) 구분하는 방법
사주명리학에서 신강(身强)과 신약(身弱)은 일간(日干)의 강약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 신강과 신약을 올바르게 구분해야 용신(用神) 선택이 가능하며, 사주의 흐름을 정확히 해석할 수 있습니다.
🔹 1. 신강(身强)과 신약(身弱)의 개념
신강(身强): 일간(日干)의 힘이 강한 경우
신약(身弱): 일간(日干)의 힘이 약한 경우
사주에서 일간(日干)은 ‘나 자신’을 의미하며, 일간을 둘러싼 오행(五行)의 힘에 따라 신강·신약이 결정됩니다.
✅ 신강한 사주 특징
✔️ 주체성이 강하고 독립적
✔️ 리더십과 추진력이 있음
✔️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높음
✔️ 자기 고집이 센 편
✅ 신약한 사주 특징
✔️ 유연하고 협조적
✔️ 주변 환경에 따라 변화
✔️ 혼자 결정하는 것보다 도움을 필요로 함
✔️ 감정 기복이 클 가능성이 있음
🔹 2. 신강·신약 구분하는 5가지 기준
① 일간(日干)의 생월(生月)과 계절
사람이 태어난 월(生月)은 사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.
일간과 같은 오행의 계절이면 신강
일간과 반대되는 오행의 계절이면 신약
📌 예시
🔥 병화(丙火), 정화(丁火) → 여름(巳, 午, 未) 출생 → 신강
🌊 임수(壬水), 계수(癸水) → 겨울(亥, 子, 丑) 출생 → 신강
🌳 갑목(甲木), 을목(乙木) → 봄(寅, 卯, 辰) 출생 → 신강
🛠 경금(庚金), 신금(辛金) → 가을(申, 酉, 戌) 출생 → 신강
반대로, 만약 일간과 계절이 상반되면 신약이 됩니다.
② 일간(日干)의 뿌리(根) 여부
사주에서 일간이 뿌리를 내렸는지 여부를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.
뿌리가 있으면 신강
뿌리가 없으면 신약
📌 뿌리 확인법
일간과 같은 오행이 지지(地支)에 있는지확인합니다.
예) 일간이 갑목(甲木)인 경우
✔️ 사주 지지에 寅(인), 卯(묘), 辰(진)이 있으면 뿌리가 있음 → 신강
✔️ 사주 지지에 木(木)이 없으면 뿌리가 없음 → 신약
③ 비겁(比肩, 劫財)의 개수
비겁(比肩·劫財)은 ‘나와 같은 오행’으로, 나를 돕는 힘입니다.
✅ 비겁이 많으면 신강
✅ 비겁이 적으면 신약
📌 예시
일간이 甲木(갑목)인데 사주에 寅(인)·卯(묘)·甲(갑)·乙(을)이 많으면 신강
일간이 甲木(갑목)인데 금(金)과 화(火)만 많다면 신약
④ 인성(印星)과 관성(官星)의 개수
인성(印星)은 일간을 보호해 주는 역할
관성(官星)은 일간을 억제하는 역할
✅ 인성이 많으면 신강
✅ 관성이 많으면 신약
📌 예시
일간이 甲木(갑목)인데 사주에 癸水(계수), 壬水(임수)가 많으면 신강
일간이 甲木(갑목)인데 사주에 庚金(경금), 辛金(신금)이 많으면 신약
⑤ 재성(財星)과 식상(食傷)의 개수
재성(財星)은 일간이 감당해야 하는 대상
식상(食傷)은 일간이 에너지를 쓰는 역할
✅ 재성과 식상이 많으면 신약
✅ 재성과 식상이 적으면 신강
📌 예시
일간이 甲木(갑목)인데 사주에 己土(기토), 戊土(무토), 丁火(정화), 丙火(병화)가 많으면 신약
일간이 甲木(갑목)인데 재성과 식상이 적고 비겁·인성이 많으면 신강
🔹 3. 신강과 신약에 따른 용신(用神) 선택
① 신강한 경우 → 억제하는 용신이 필요
신강한 사주는 재성(財), 관성(官), 식상(食傷)을 용신으로 삼아야 균형이 맞음.
예) 신강한 목(木) 사주는 금(金)이나 화(火)를 용신으로 삼아야 함.
② 신약한 경우 → 보완하는 용신이 필요
신약한 사주는 비겁(比肩, 劫財), 인성(印星)을 용신으로 삼아야 함.
예) 신약한 목(木) 사주는 물(水)이나 목(木)을 용신으로 삼아야 함.
📌 예시
✅ 신강한 경금(庚金) → 화(火)나 목(木)이 용신
✅ 신약한 병화(丙火) → 목(木)이나 화(火)가 용신
🔹 4. 신강·신약을 구분하는 실전 적용법
✅ 신강한 사람의 특징
✔️ 자기 주장이 강하고 독립적
✔️ 큰 프로젝트나 사업을 잘 이끌어감
✔️ 재물과 명예를 스스로 쟁취하려는 성향
✅ 신약한 사람의 특징
✔️ 유연하고 주변의 도움을 잘 받음
✔️ 협력하는 환경에서 강점을 발휘
✔️ 재물을 관리하기보다 모으는 것이 중요
🔹 5. 결론
신강과 신약을 정확히 구분하는 방법
✅ ① 태어난 계절과 생월을 확인한다.
✅ ② 일간이 뿌리를 내렸는지 본다.
✅ ③ 비겁(比劫)과 인성(印星)의 개수를 확인한다.
✅ ④ 관성(官星)과 재성(財星)의 개수를 본다.
✅ ⑤ 신강하면 억제하는 용신, 신약하면 보완하는 용신을 선택한다.
✔️ 정확한 신강·신약 구분은 사주 해석의 핵심!
✔️ 이를 기반으로 용신을 정하면 더욱 정확한 해석이 가능!😊
'사주명리공부 > 사주초급중급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🤝사주에서 합(合)이 있는 직업 – 성공적인 직업 선택 가이드 (1) | 2025.03.17 |
---|---|
✔ 사주 지살(地殺), 년살(年殺), 월살(月殺)의 의미와 해석 (5) | 2025.03.14 |
📌억부용신, 조후용신, 통관용신 의미와 해석 (2) | 2025.03.10 |
✅사주격국 격국용신 해석 방법 격국정격 월령(月令)을 중심 (0) | 2025.03.06 |
🌱궁성론 - 사주명리학에서 운명을 읽는 열쇠 (1) | 2025.03.05 |